일제 강점기 대표적 독립운동가 안중근(安重根, 1879–1910) 의 하얼빈 의거(1909년)는 한국 현대사에서 매우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이 의거는 단순한 암살 사건을 넘어, 조선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린 역사적 행위였습니다.
이 글은 안중근 의사가 하얼빈 의거 직전에 걸었던 공간과 만났던 인물, 남긴 기록들을 토대로 그의 마지막 여정을 시간 순으로 추적합니다. 독립운동의 역사성을 되새기며, 당시 심정과 결의를 생생히 느껴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의거 직전, 봉천암살단과의 연계
안중근은 하얼빈에 도착하기 전, 러시아령 접경지인 봉천(지금의 선양) 일대에서 동지들과 접촉하며 계획을 조율했습니다. 김동삼(金東三), 조도선趙道先 등 의거 동지들과 신분을 위장해 모임을 가졌으며, 이때 의도된 최종 목표가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라는 점이 명확히 설정되었습니다.
2. 하얼빈 입성 전 동선 기록
1909년 10월 중순, 안중근은 하얼빈으로 이동했으며 그 과정에서 봉천과 연길, 하얼빈 열차역 일대를 답사했습니다. 독립기념관 연구에 따르면, 그는 긴장감을 유지하며 현지 지형과 보안 상태를 파악했다고 전해집니다.
3. 하얼빈 안중근의 마지막 하루
3‑1. 의거 전날(10월 25일)의 동선
의거 전날 저녁, 안중근은 블라디보스토크행 열차를 타기 위해 표를 마련했으며, 서신 일부를 동지에게 전달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이 서신은 동지들과의 감정적 유대와 결의를 담고 있어, 그의 내면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3‑2. 의거 당일 아침
10월 26일 아침, 하얼빈역 근처 여관에서 기상한 안중근은 낙관적 태도로 아침을 먹은 뒤, 준비해왔던 권총과 탄환을 확인한 뒤 의거에 나선 것으로 전해집니다.
4. 의거와 관련한 현장 증언
러시아 공사관 직원과 일본인 거류민의 증언에 따르면, 안중근은 "조선 독립 만세"를 외친 뒤 이토 히로부미를 겨누었다고 합니다. 이후 일본과 러시아 경찰이 출동해 그를 체포했으며, 당시 상황을 목격한 이들의 증언이 실록 형태로 남아 있습니다.
5. 의거 직후 재판과 기록 남김
윤봉길 의사의 순국 이후 여운형 등은 안중근에게 사형집행을 중단하고 정치범으로서 삶을 살게 해줄 것을 일본 측에 청원했으나, 러시아 법원은 하얼빈 시찰 법정에서 즉시 사형을 선고했습니다. 이후 안중근은 직접 작성한 유묵과 연명서 등을 남겼으며,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내가 할 도리를 다 하였다”라는 유언입니다.
6. 안중근 의사의 정신과 신념
안중근은 의거 이전부터 『대동강호』 등 일본 침략과 조선 백성의 고통을 기록하고, 민족 해방을 위한 의병 행동을 지지했던 인물입니다. 그의 하얼빈 의거는 개인적 복수가 아닌 독립 전쟁 행위의 일환이었으며, 동북아시아 전체에 울린 항일 저항의 첫 신호탄이었습니다.
7. 의거 장소의 현재 모습과 기념 공간
오늘날 하얼빈역 의거 장소는 중국 현지에서 일부 보존되어 있으며, 의거 당시 표지석과 추모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현지 한국 교민 단체와 중국 항일 유적 관리 기관이 함께 기념 행사를 열기도 합니다.
8. 의거 기록의 국내·해외 전시 현황
안중근 기념관(서울), 하얼빈 의거 기념관(중국 흑룡강성) 등에서 의연금, 권총, 서신, 법정 증언 기록 등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안중근이 직접 쓴 서신과 판결문은 학술자료로서도 높은 가치가 있습니다.
9. 결론: 마지막 걸음을 기리며
하얼빈의 그날, 안중근은 오직 조선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걸었습니다. 의거는 실패했지만, 그의 신념은 여전히 살아있습니다. 우리는 그가 살았던 공간, 만났던 사람, 남긴 기록 앞에서 다시금 그의 용기와 결의를 기억해야 합니다. 독립 전사의 마지막 여정을 다시 찾아가 보는 것은, 우리 자신이 누리는 자유의 의미를 되새기는 길이기도 합니다.